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이제는 미세먼지가 뭔지 알아야 대처하지 않을까싶어요.

by 이유나무 2018. 12. 21.
반응형


요즘 미세먼지때문에 다들 고생이시죠..

정말 몇 년 전만해도 미세먼지로 인해 고민하는 일은 없었는데, 이제는 육안으로도 안개처럼 보이는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를 안할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마스크를 안할 수 없을 것 같은데 

국가에서 마스크 가격이나 배포에 대해 언젠가는 꼭 지원해주길 바래보아요.

기능이 좋고 두꺼운 것은 한개에도 부담되는 가격이라 저는 심한 날에도 못쓰는 경우도 있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미세먼지가 뭔지 정확히 좀 알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러분은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알고 있으면 대처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세먼지 발생원인 2가지


1. 자연적 발생.


자연적으로 미세먼지가 발생되는 경우는 우리가 평소 알고있는 것처럼

흙먼지, 바닷물에서 생기는 소금, 식물의 꽃가루같은 것들이 자연적이라 볼 수 있다고합니다.

또한 우리가 요즘 기사로 알고있듯이 중국에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발전시설에서 석탄, 석유같은 화석연료를 태우면 나오는 매연, 

건설현장 등에서 생기는 날림먼지, 공장에서 발생하는 분말형태의 원자재,

소각장 연기, 자동차 배기가스, 부자재 공정에서 발생하는 가루 성분 등이 미세먼지가 됩니다. 



2. 인위적 발생.


인위적인 발생은 위에처럼 공장에서 나오는 발생원들이 공기 중의 다른 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미세먼지가 되는 경우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화석연료가 태워지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질이나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의 암모니아, 오존, 수증기와 결합하여서 생성되는 것들이 2차적인 인위적인 발생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결합되어 질산암모늄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이 2차적인 발생의 먼지로 인해 우리의 삶에서 문제가 되는 것인데요.


수도권에서는 이 2차 생성으로 인한 미세먼지의 발생량이 2/3를 차지할 정도로 높다고 합니다.



중국이 점차 개발하고 발전하게 되면서 그 영향이 대한민국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요.

그 이유도 중국통계연보에 따르면 중국의 석탄 의존도가 70%이상이라고 합니다.


겨울에는 특히 더 석탄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니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사용량이 증가하는 겨울철에는 스모그가 자주 발생하게 되어지고

이것이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로 날아오게 되니 우리나라 국민들의 피해가 참 많은 것 같아요.



스모그 = 연기(smoke) + 안개(fog)의 합성어.

스모그가 있는 날에는 미세먼지,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이 혼합되어져

안개가 낀 것 처럼 뿌옇게 되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황사나 이런 스모그도 둘다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사실 황사같은 경우는 자연현상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현재 큰 문제가 되고있는 미세먼지는 고농도이기 때문에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미세먼지 때문에 모든 사람들의 걱정이 하나 더 늘어난 것 같아요. 아이엄마분들은 더 걱정이 많으신 것 같구요.

앞으로의 세상은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사라질 수 있을지., 오히려 더 심해질지 걱정이 되는 바입니다.


이제 미세먼지가 뭔지는 대략적으로 이해되지 않으셨나요?

모두 건강하시길 바랄께요!!





반응형